레이블이 중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중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8월 30일 금요일

중국은 후쿠시마 핵사고로 인한 태평양 방사능오염을 모니터링중..



2013.8.26 China News
중국 국가해양국 "후쿠시마 핵오염 중국해역에는 아직 영향없어"


중국 국가해양국은 24일, 2011년3월에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이후 방사능오염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조사상황을 발표하고, 오염해역이 넓어지고 있으나, 중국 관할
해역에 영향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국가해양국이 방사성 오염물질의 바다유출을 주시하고 있으며, 사고발생후부터
현재까지 서태평양의 공해상에서 추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원전사고에 의한 방사성 오염물질의 영향범위가 더욱 확대되어, "이미 북위 20도 해역에서
세슘-134를 발견했다"고 하는 한편, 최신 측정결과에서 "중국의 관할해역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국가해양국은 중국의 정당한 해양권익을 지키기 위해서 앞으로도 모니터링을 계속함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후쿠시마 부근 해역에서 국제사회와 협력해서 모니터링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8월14일 중국 국가해양국은 캐나다,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미국의 6개국 전문가 12명
으로 '북태평양 해양 방사능오염 환경평가그룹'을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사고이후 방사성 오염물질에 의한 북태평양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생태학적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끝)

중국은 후쿠시마 핵사고 발생후 2011년부터 태평양의 방사능오염 진행상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해온 모양이다. 찾아보니 매년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었다.

2011.7.5 중국해양보
서태평양 해양환경 방사성 모니터링


2011년 7월 4일, 중국 국가해양국은 서태평양 해양환경 방사능 모니터링을 위한 첫 출항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번 출항의 임무는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 발생 이후 방사능 물질이 대량으로 바다에
확산되어 해양환경 안전에 미친 영향, 특히 중국 관할 해역의 방사능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서태평양 공해상에서 방사능 물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예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항행의 노정은 4,700여 해리이며, 25.2만㎢의 공해상에서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18일 동안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완료하였다. 일본 후쿠시마 사고가 서태평양에
미친 영향을 밝힐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서태평양 해양환경 방사능모니터
예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로 일본 동쪽 해역에 미친 방사능 오염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아직
정확하게 모르는 상황에서 팀원들은 핵 방사능의 위험을 무릅쓰고 관련 샘플을 수집
하였다고 중국 국가해양국 해양환경보호사(司) 천리췬부사장은 말하고 있다.

국가해양국 제3해양연구소(여흥광소장)는 일본 후쿠시마 핵사고로 해양환경에 미친
영향은 심각하며 향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번 서태평양 방사능
모니터링을 시작으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탐사를 위해 중국수산과학원 남해 수산연구소 '남봉(南鋒)'호에 50여명이 탑승
하였으며, 6월16일 샤오문에서 출항하였다. 이번 서태평양 해양환경 방사능 모니터링
완료 후, 중국 해양과학자들은 샘플 분석, 테스트 작업 등을 바로 착수하여 일본 후쿠시마
핵누출사고로 주변 대양 및 중국 관할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하게 밝힐 계획이다.
(끝)

22012.5.25 중국해양보
중국 국가해양국, 서태평양 환경방사능 검사결과 발표


2012년5월4일, 중국 국가해양국은 서태평양 해양환경 방사능에 대한2번째 검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서태평양 해역의 세슘-137과 세슘-134 농도는 1번째 검사 보다 줄었으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 농도보다는 높았으며, 해양생물은 아직 원전사고의 영향을 받아 방사성 물질이
해양생물에 축적되어 있는 양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1년 11월 28일 - 12월 27일 기간동안, 중국 국가해양국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해양환경에 미친 영향 및 후쿠시마 동쪽과 남동쪽에 위치한 서태평양 해역의 해양대기/
해수/해양생물에 대한 해양환경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에 따르면, 모든 해수샘플에서 방사성물질 세슘-137과 스트론튬-90이 검출
되었으며, 81%의 해수샘플에서 세슘-134가 검출되었다고 한다. 그 중에서 검출된
세슘-137의 가장 높은 농도는 원전사고 이전 일본 근해 해수의 48배에 달하였다.

빨강오징어 샘플에서 검출된 세슘-137과 스트론튬-90은 각각 원전사고 전의 21배와
3.1배였다. 그러나 서태평양 해역의 해양대기 공기흡수율은 별다른 이상이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끝)

일본의 방사능오염수 누출에 대한 중국 언론과 일반인 반응


2013.8.23 Searchina News
일본정부는 후쿠시마의 방사능문제를 무시하고 있다

중국 반관영 중국신문사(中國新聞社)는 23일, 홍콩 일간지 웬웨이포(文匯報)가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능오염수 누출에 대해 일본정부가 무시하고 있다는
평론기사를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기사는 방사능오염수 누출이 심각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베수상은
원전의 재건을 내걸고 있어서, "일본정부의 반성없고,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하고, "만일 방사능문제를 앞으로도 막지않으면
일본은 역사에서 '치욕의 기둥'에 묶여질 뿐이다."라고 했다.

또한 일본정부와 기업이 밀접하게 협력하는 '독특한 체제'가 "왜 도쿄전력의
원자력설비관리가 불충분하고, 후쿠시마 사고후 작업도 문제투성이인데도 불구하고
아무도 책임지고 사임하지 않는지 설명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기업의 상층부가
처벌받는 기회가 적으며, "오로지 해양생태계와 일본시민이 고생하기만 한다."고
논했다.

그리고 아베수상에 대해 "눈을 뜨고 방사능문제를 직시하지 않으면, 아무리
'아베노믹스'가 시장에서 갈채를 받더라도, 개헌으로 우익세력에게 아부해도,
역사의 치욕거리가 될 뿐이다."라고 경고했다.
(끝)

2013.8.23 Searchina News
일본은 죄악투성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오염수 누출


중국의 국영통신사 신화사(新華社)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 공식계정으로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대량의 오염수가 바다로 누출되고 있다고 전했더니,
많은 반향이 있었다.

도쿄전력은 20일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300톤이나 되는 고농도오염수가 바다로 누출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누출된 오염수 표면의 시간당 방사선량은 원전작업원 연간허용량의
5년분에 해당한다. 2011년 원전사고 이후 가장 중대한 누출사고라고 한다.

뉴스에 대해 웨이보 유저들은 "이웃나라로서 중국은 후쿠시마의 오염수 누출사고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의 해역이 오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라고 걱정하는 언급이
있었는데, 당연할 것이다.

이런 사고를 일으킨 것에 대한 분노의 소리도 많아서, "누출이 한번도 멈춘 적이
없는 거 아니냐?" "일본놈들(鬼子, Japanese devils)이 유일하게 세계에 하는 짓은
세계에 피해를 끼치는 짓뿐이다." "일본놈들(小日本) 어디까지 죄악을 지어대야 끝나냐"
등으로 말하는 유저도 있었다.

또한 돈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 "태평양연안 국가들은 일본에 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가." "일본은 주변국에 대해 배상해야 한다." 등의 언급이 있었다.

그밖에는 "미역과 소금은 먹을 수 있나." "이딴 걸 일본인이 바다에 배출하니,
해양생물은 장차 무서운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게 아니냐"라는 등 걱정하는 소리나,
"미국의 원폭은 일본을 멸망시키지 않았는데, 일본인은 방사능으로 자멸하겠다."
라는 의견도 있어, 어쨌든 대단한 민폐라는 뜻의 언급이 많았다.
(끝)

저 사이트는 중국의 언론 동향을 일본에서 살피는 사이트인 것같다.
이번에 후쿠시마에서 방사능오염수를 300톤이나 추가로 누출시킨 건에 대해
중국측 반향을 유심히 살펴본 모양이다.

보니까, 중국의 논조가 어떤 나라보다 훨씬 명확하다는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그와중에 한가지, '아베노믹스'는 이미 세계에서 욕처먹고 있는 걸로 아는데..

다시한번 느끼는게, 피해국가들끼리 회의기구라든지, 하다못해 게시판이라도
필요하다고 느낌. 동병상련이랄까.. 가해자 국가는 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