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9일 목요일
사고당시 도쿄에 있다가 센다이로 옮긴 30대여성 무뇌아 + 태반유착
2013.9.19 기노시타 코타 블로그
무뇌증으로 인공사산, 유착태반으로 자궁적출, 센다이 30대 여성
주변에서도 중증장애로 중절 및 뇌장애아 출산
나는 현재 미야기현 센다이시에 거주하는 30대전반 애엄마입니다.
2012년8월에 둘째를 임신한 것을 알았는데, 무뇌아로 진단되어
임신18주에 인공사산하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증 유착태반 때문에 2013년1월에 자궁적출했습니다.
나는 원전사고 당시 도쿄 아다치구(足立区) 도와(東和)지역에 살고
있었습니다. 가장 방사선량이 높았다던 2011년3월15일에도, 또한
위험했다고 하는 3월21일 비올 때도 아직 한살이던 아들과 함께
외출했었습니다.
2011년4월부터 센다이(仙台)에 와서 살고있습니다.
나는 원전사고 직후에도 위험하다던 관동지방 채소를 먹고 있었고,
수돗물도 보도되기전까지는 정수기를 쓰면서 마시고 있었습니다.
그후에는 되도록 생산지를 가려서 먹었습니다.
원전사고후 1년반 지나서 임신한 것인데, 내 주변에서는 뇌에 장애를
갖고 태어난 아기나, 태반에 이상이 있어서 장애가 생긴 아기 얘기가
적어도 3~4건 있습니다.
내 아기에게 나타난 '무뇌증'도 원인이라는 흡연, 엽산부족 등은
생각되지 않으며(나도 남편도 흡연하지 않으며, 엽산은 임신전부터
섭취했었습니다) 원전사고가 관계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궁에 쌓이는 방사성물질도 있다고 듣고, 내 자궁을 잃게
된 것도 뭔가 관계하지 않는가 생각하게 됩니다.
체험담이었습니다. 실례합니다.
◇-◇-◇-◇-◇ (이하, 기노시타)
그녀는 30대전반이며 젊고 몸에는 원래 불안한 요소는 없었다고 한다.
친척이 대지진 쓰나미 피해를 당해, 사고당시 원전에 신경쓰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4월말에는 예정대로 센다이에 살게되어 어느정도는 식생활에 신경
썼다지만, 주변상황 등으로 완전히 방어하기는 어려웠다고 얘기한다.
"내가 임신하고 이렇게 돼서야 충격받았다."
"아다치구에서도 오염이 심했고, 센다이에서도 선량이 높아 제염작업한
곳이 있는데, 그런 곳을 걷기도 했다. 안좋았을지도 모른다."
"기노시타씨한테 연락하는 것도 상당히 갈등이 있어서, 마음이 정리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
"흡연도 안하고, 엽산도 섭취했고, 어머니나 할머니한테도 그런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 그래서 방사능을 의심하게 된다."
"마지막에 도호쿠대학병원에서 자궁적출을 했다. 연간 2000건을 보는데
자궁적출하는 것은 연간 1명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 늘었다고
의사가 말했다. 나는 피폭영향이 아니냐고 물었더니, 그런건 아니다,라고
답하는데, 나는 수긍되지않았다. 최근에 늘어날 이유를 모르겠다."
"나와 친구까지 작년에 4명 임신했다. 모두 센다이. 그중 1명이 30대중반
여성인데 작년8월에 태어난 아기가 중증 뇌장애였다. 친구 4명중 반이라는
확률은 너무 많다."
"친구의 친구 역시 센다이인데, 작년에 중증 장애가 있어서 중절했다고 한다.
최근에도 태반의 혈관장애가 있다고 판명된 사람 얘기도 들었다."
"지금 아이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 그것을 생각하고 있다."
나는 그녀에게 센다이에서 혈액검사나 갑상선검사를 해주는 병원을 알리는
것밖에 할수없었다.(끝)
2013년 8월 30일 금요일
시카고 국제학회에서 생물에 대한 원전사고의 영향 연구발표
새나 벌레에 영향, 더 조사를 후쿠시마 원전사고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방출된 방사성물질이 생물에 끼치는 영향을
생각하는 국제분자생물진화학회의 심포지움이 8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미국과 일본의 연구자들이 제비 등의 조류나 나비 등의 곤충에 이상이 일어나고
있는 가능성을 지적하고, 더욱 자세한 조사를 해야한 다는 필요성을 주장했다.
미국 South Carolina대학 티모시 무쏘(Timothy Mousseau) 교수는 1986년의
체르노빌 원전사고후에 제비 등의 깃탈 일부가 하얗게 되거나 몸에 종양이
생기는 등의 이상이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일본의 연구자와 협력해서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영향도 조사하고 있는
무쏘교수는 원전주변에서 조류 개체수가 줄어든 한편, 깃털일부가 하얀 것과
종양이 있는 새가 발견된 정보가 있다고 밝히고, 방사선과의 관련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류큐대학 오오타키(大瀧丈二)준교수는 후쿠시마 주변에서 채취한 나빙의 일종
'남방부전나비'의 유전자와 형태에 이상이 발견된 것을 보고했다. 곤충은 일반적
으로 저선량 피폭에 강하다고 하는데, 실험실에서 유충에게 방사성물질이 묻은
잎을 먹였더니, 성장단계에서 이상이 생겨 죽는 것을 밝혔다.
(끝)
오오타키 교수는 이미 네이쳐에 논문이 실렸으니, 어디가나 꿀릴게 없겠는데,
일본언론에서 다른 일본인 발표자 얘기가 없는거 보면, 일본을 대표하는 상황인데,
뒷구녁에선 연구비 짤렸다는 소리가 있으니 알려지면 어떨까?
국제무대에서 "실은 연구비 짤렸어요~"라고 발표하면 참 인상깊을 거같다.
하긴 저기는 하이야트호텔에서 만찬회도 하는데, "먹고 마시면서 그 얘기 꼭나온다"에
10원 건다.
관련 링크↓
네이쳐 논문 The biological impacts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on the pale grass blue butterfly
프랑스 르몽드 기사 Des papillons mutants autour de Fukushima
독일 ARD TV 보도 + 영상 Langzeitschäden durch Fukushima
독일 ARD TV 보도 유툽영상
후쿠시마 핵사고와 동식물 이변에 관한 심포지움
2013.4.3 Toyokeizai(東洋経済) Online
후쿠시마 주변에서 "동식물 이상(異常)" 잇따라
나비, 원숭이 등 피폭영향
후쿠시마시나 촌민전체가 피난할수밖에 없는 이이다테무라(飯舘村) 등
후쿠시마 핵사고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지역에서, 동물이나 식물에 이상이 많이 보인다고,
연구자의 조사로 밝혀졌다.
3월30일 도쿄대학에서 개최된 "원전재해와 생물, 사람, 지역사회"
(주최: 이이다테무라 방사능 Ecology연구회)에서 도쿄대학이나, 류큐대학 등의
연구자가 포유류, 조류, 곤충, 식물에서 발견된 이상에 대해 보고했다.
원전사고에 의한 생물에의 영향에 관한 연구보고는 국내에서도 극히 적으며,
4명의 연구자가 일반시민을 향해 보고한 경우는 아마도 처음있는 일이다.

벼 유전자에 이변
먼저 생물에의 영향에 관해 심포지움에서 처음으로 보고한 게,
쓰쿠바대학 대학원 생명환경과학연구과 Randeep Rakwal 교수.
"이이다테무라에서 저준위 감마선 조사에 따른 벼의 유전자 발현 관찰"
이라는 주제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Rakwal교수는 쓰쿠바시내 연구소에서 재배한 벼의 모종을 후쿠노빌 40km 위치
이이다테무라 시험농장에 가져가 심고, 방사선 외부피폭되는 야외에 두었다.
그리고 생장이 진행되는 줄기의 뿌리에서 세번째 잎을 시료로 채취하고,
드라이아이스로 냉동보존하여 쓰쿠바로 가져왔다.
그후, "반정량적 RT-PCR법"이라는 해석방법을 써서, 특정 유전자의 움직임을
관찰했더니, 저선량 감마선피폭이 갖가지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Rakwal교수등이 집필한 연구결과 요지는 "이이다테무라 시험농장에 도착해서
초기(6시간후)에 채취한 시료는 DNA손상수복 관련 유전자에,
후기(72시간후)에 채취한 시료에서는 스트레스 방호반응 관련 유전자에
변화가 보였다"고 한다.
"벼에 대한 저선량피폭의 영향조사는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다.
앞으로, 종자 단계부터 영향을 봐가고, 인간에도 공통되는 메카니즘이 있는지
알아내고자 한다"고 Rakwal교수는 말한다.
나비에 나타난 이변
동물에 나타난 이변에 관해서는, 3명의 연구자가 나비, 새, 원숭이 순서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나비에 관해서 연구내용을 발표한 것은 류큐대학 오오타키 준교수.
"후쿠노빌의 남방부전나비에 대한 생물학적 영향"이란 제목으로 강연했다.
오오타키 준교수의 조사는 일본국내에 흔히 보이는 작은 나비인 남방부전나비를,
후쿠시미 지역을 포함한 동일본 각지 및 방사능 영향이 거의 없는 오키나와현에서
채집하여, 외부피폭과 내부피폭의 실험을 통해, 생존율과 형태이상 유무를 조사한 것.
오오타키 준교수의 연구성과는 2012년8월에 해외 온라인 저널 "Scientific Report"에
발표되었고, 프랑스 르몽드지에 크게 실리는 등, 세계적으로도 큰 반향이 있었다.
논문 원문
http://www.natureasia.com/ja-jp/srep/abstracts/39035
일어판 논문
http://w3.u-ryukyu.ac.jp/bcphunit/kaisetsu.html
오오타키 준교수는 연구특징으로 이하를 들었다.
1. 사고 초기단계부터의 조사인 점
2. 사고 영향이 없는 지역과의 비교연구인 점
3. 사육실험에 의해, 자손세대로의 영향을 평가한 점
4. 외부피폭실험 및 내부피폭실험을 실시한 점
사고 2개월후인 2011년5월 및 반년후인 9월에 후쿠시마현 등에서 남방부전나비를
오키나와로 가져가서, 제1세대, 제2세대까지 사육.
한편으로 오키나와에서 채집한 들풀(괭이밥)을 오키나와에서 채집한
남방부전나비 유충에 먹였다.
남방부전나비 채집지점은 도쿄와 이바라키현(미토시, 쓰쿠바시, 타카하기시),
후쿠시마현(후쿠시마시, 고리야마시, 이와키시, 모토미야마치, 히로노마치),
미야기현(시로이시시) 등 10곳.
연구에 사용된 남방부전나비는 5,741마리에 달했다.
오오타키 준교수 연구에선 놀라운 결과가 판명됐다.
2011년5월 채집에서 다른 지역과 달리 후쿠시마현의 나비에서는 날개가 작은
개체가 뚜렷이 많았다. "지면의 방사선량과 날개 크기를 비교했더니, 역상관이 보여,
선량이 높을수록 날개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보였다"고 오오타키 준교수는
데이타로 설명했다.
또한 포획한 개체의 다음세대에 관해, "후쿠노빌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우화까지의 날수가 길어지는 경향이 보여, 성장지연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았다."
"어미세대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음세대에서도 이상비율이 높아지는 결과도 나왔다"
고도 한다.
다만, "지금까지의 실험에서는 유전성(DNA손상에 따른 것)이라고 단정하기에는
충분한 증거라고 할수없다"고도 설명했다.
외부에서 방사선을 쏘인 실험(외부피폭 검증)에서는, 방사선을 많이 쏘인
개체일수록 날개가 작아지는 경향이 보이고, 생존율이 낮아졌다. 또한
오염된 괭이풀을 유충에 먹인 내부피폭 실험에서 비교대조군인 야마구치현
우베시의 개체에 비해, 후쿠시마현의 개체는 이상이 많았고,
생존율도 대폭 낮아졌다.

내부피폭 연구에서는 놀라운 결과도 나왔다.
"오키나와 풀을 먹은 개체에 비해, 후쿠시마현의 개체는 죽는 모습도
뚜렷한 이상이 많이 보였다"고 사진으로 설명했다.
번데기 껍질에서 나오지 못한채 죽거나, 성충이 되더라도 날개가 펴지지 않는 등,
충격적인 사진을 소개.
"(생체의) 미묘한 균형이 망가지면,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휘파람새에 종기가..
이어서 도쿄대학 대학원 농학생명과학연구과 이시다 켄 준교수는
"고선량 지대주변의 야생동물 생태, 피폭 모니터링"이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
이시다 준교수등은 후쿠시마현 아부쿠마고지(阿武隈高地) 중에서도
특히 방사선량이 높아, 현재 "귀환곤란구역"으로 지정돼있는
나미에마치(浪江町) 아코우기지구(赤宇木地区, 후쿠노빌 25km)에서
2011년8월에 야생 휘파람새 4마리를 포획했더니, "한마리에서
나자신도 휘파람새에서 본적없는 종기가 발견됐다"고 한다.
지금까지 350마리 넘게 포획한 경험이 있는 이시다 준교수가
놀랄 정도의 병세로, 이 휘파람새에는 혈액원충도 기생하고 있었다.
또한 포획한 휘파람새 깃털을 가져다 방사선량을 측정했더니,
세슘134 + 137 합계가 최고 약53만Bq/kg이나 되는 오염이 판명됐다.
이시다 준교수는 그후에도 자택이 있는 사이타마현 요코제마치와
후쿠시마를 15번에 걸쳐 왕래하며, 조류의 정점관측과 자동녹음에 의한
야생동물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
한편, 연구성과 일부는 나카니시 토모코 도쿄대학교수등이 편찬한
영문서적으로 Springer사에서 3월에 출판되었다.
전자서적은 누구나 무료로 볼수있다↓
Agricultural Implications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일본원숭이 백혈구수가 감소
4번째 강연자는 하야마 신이치 일본수의생명과학대학 교수.
"후쿠시마현 야생 일본원숭이에서 방사성 세슘 피폭상황과 건강영향"
이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
28년에 걸쳐 원숭이 연구를 계속해온 하야마교수는 일본원숭이가
홋카이도와 오키나와현을 제외한 일본전국에 서식하는 점에 착안.
"세계최초로 원전피해를 입은 야생 영장류"라며, 일본원숭이는
피폭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하야마교수는 약3천마리가 서식하는 후쿠시마시내(후쿠노빌 약60km)
에서 농작물 피해대책으로 개체수 조정 때매 포획된 원숭이를 써서,
근육에 축적된 세슘의 양을 계속적으로 조사. 성별과 연령, 식성과의
관계들을 검증했다.
2011년4월부터 2013년2월까지 후쿠시마시내에서 포획된 396마리 원숭이와,
아오모리현에서 2012년에 포획된 29마리를 비교.
토양속 세슘 양과 근육속 세슘농도의 관계를 검증했다. 그 결과,
"토양오염수준이 높을수록, 체내세슘 축적수준도 높은 경향이 있음을 알게됐다."
또한 나무껍질이나 싹을 먹는 경우가 많고, 토양이 바람에 날리는 경우가 많은 겨울철에
체내농도가 상승하는 것도 판명됐다고 한다.
한편, 아오모리현 원숭이에서는 세슘이 검출되지 않았다.
"주목할만한 데이타"로서 하야마교수가 소개한 것은, 혈액중 백혈구 숫자다.
피난지시구역에서 벗어난 후쿠시마시내 원숭이는, 외부피폭이 연간 수mSv 의
적산선량 정도이며, 내부피폭량도 10mGy 정도일 것으로 하야마교수는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원숭이의 정상범위보다 백혈구수, 적혈구수 모두 감소했고,
백혈구는 큰 폭으로 감소했던 것이다.
"특히 눈에 띈게 2011년3월 원전사고 이후에 태어난 새끼원숭이(0~1세)다.
오염수준과 상관되어 백혈구수가 감소됐다.
조혈기능에 영향이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심포지움 마지막 토론에서 하야마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 강연내용이 당장 인간의 건강연구에 도움될지는 모른다.
다만, 현재 후쿠시마시내 원숭이 피폭상황은, 체르노빌 애들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체르노빌 애들에게 보이는 현상이 일본원숭이에게도 일어났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끝)

그냥 휘파람새
후쿠시마 핵사고와 나비의 기형에 관한 추가논문
22013.8.12 BMC Evolutionary Biology 2013, 13:168
후쿠시마 핵사고와 '남방부전나비'
장기간 저선량 피폭의 생물학적 영향평가
연구배경
2012년8월9일 우리는 Scientific Reports에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그 결론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방출된 인공핵종이 후쿠시마 지역남방부전나비
Zizeeria maha에게 유전적 및 생리학적으로 악영향을 끼쳤다는 것이었다.
발표후 전세계로부터 많은 질문과 논평이 뒤따랐다. 이에 우리는 그 논문의 논점을
명확히 하여, 제기된 물음에 답하였다.
연구결과
① 남방부전나비를 지표 생물종으로 택한 잇점은 많다.
② 후쿠시마에서 수집된 개체들의 앞날개는 그 북쪽이나 남뽁에 비해 상당히 작았다.
③ 후쿠시마 지역에서 나비들에게 성장지체가 관찰되었다.
④ 후쿠시마 지역에서 나비들에게 나타난 이상한 색깔패턴은 온도나 동종교배(sibling
crosses)에 의해 유발되는 색깔패턴과는 달랐다. 오히려 인공핵종이나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물질에 외부노출 및 내부노출로 유발된 것에 유사했다. 즉 유전적 돌연변이를
시사했다.
⑤ 해당 종은 후쿠시마 지역에서 적어도 50년간 풍부하게 서식해왔다.
우리는 이에 사고전에 후쿠시마현에서 수집한 표본을 제시한다.
⑥ 2011년5월부터 2011년9월까지 이상형질이 증가하여 유전적 변이의 축적이 나타났다.
⑦ 이상형질은 유전되었다.
⑧ 우리의 수집지역은 쓰나미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⑨ 우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기에 충분한 시료수를 사용했다.
⑩ 대조군의 정상 성충을 얻는 데에 표준사육방법이 사용되었다.
⑪ 노출실험은 야외조사 결과를 성공적으로 재현했다. 이 나비종은 장기적 저선량 외부피폭
및 내부피폭에 취약했다. 한편 곤충의 세포는 단기적 고선량 방사선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실험조건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론
우리는 동물에게 장기적 저선량피폭이 끼치는 새물학적 영향을 이해하기 시작한 단계다.
핵사고의 생물학적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더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http://www.biomedcentral.com/content/pdf/1471-2148-13-168.pdf






(끝)
◇◇◇◇◇◇◇◇◇
류큐대학 오오타키 교수팀이 최근 추가논문을 발표한 것이다.
전에 발표된 논문과 관련 보도 등에 관해서 이하에 링크를 뽑았다.
세계적으로 상당한 반향이 있었는지, 제기된 질문들에 대해, 이번 논문에서 답하고 있다.
상당히 많은 준비를 한듯하고, 자료도 많은데, 위에서 몇가지 그림만 추려봤다.
아마도 핵사고 이전에 후쿠시마에서 정상상태의 나비모양을 확인했냐는 지적도 있었는지,
당당하게 핵사고전에도 풍부한 시료가 있었다며, 이번에 제시하고 있다. 그 사진자료는
여기서는 생략했다.
또한 통계처리할 만큼 충분한 시료수를 확보했냐는 얘기도 있었는지, 역시 충분한 수를
확보했다며 표로도 제시하고 있다. 역시 여기서는 생략했다.
여기서 뽑은 그림은, 후쿠시마 및 일본전역에 걸친 나비 채취 지역분포.
그리고 후쿠시마 지역의 나비에게서 성장지체가 나타났다는 데이타.
날개의 이상한 색깔패턴과 돌연변이 유발에 의한 색깔패턴, 온도차에 의한 패턴 등의 비교.
지역별 이상발생 빈도와 세대간 변화. 이상발생률의 분석.
반사선량에 따른 생존율 실험 데이타. 등등이다.
흔히, 동식물 기형에 관해서는 그딴거 확인안된 것들뿐이야, 거들떠 보지 말자는 논조가
있는데,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들도 진지하게 맘먹으면 조사하러 다닐 수도 있는 문제이며,
그러기 싫으면, 그냥 모른다고 할 일이다. 하물며 연구자라면, 스스로 연구발표를 못할
바에는 위와 같은 연구자의 발표에 관심을 갖고 소개하든지 할 일이다.
사회가 기초과학 등을 포함한 온갖 학문의 연구자들을 부양하는 이유는, 그만큼 연구를
통해 사회에 공헌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라고 봐야 한다. 그런 입장에서 후쿠시마 핵사고와
같은 재앙을 당하면서 발견되는 현상들을 일반인들이 나서서 수집하고 있는 것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시각은, 일반인들에 앞서서 저런 연구발표처럼 사회가 이해할 만한 충분한
연구성과를 제시할 일이지, 연구발표의 부족과 정보제공이 제한된 상황에서 일반인들이
나서는 것을, 가만히 앉아서 결코 우습게 여길 입장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P.S
방사선에 의한 동식물 기형? 그런거 알수없어요 ~ 요딴 소리는 연구자로서 항복선언밖에
안되고, 사회공헌을 거부하는 자세에 불과하다.
그런거 거들떠 볼 필요가 없다? ~ 요딴 소리는 아예 연구자의 본질인 학문하는 자세에 대한
배신으로까지 보여진다.
관련 링크↓
네이쳐 논문 The biological impacts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on the pale grass blue butterfly
프랑스 르몽드 기사 Des papillons mutants autour de Fukushima
독일 ARD TV 보도 + 영상 Langzeitschäden durch Fukushima
독일 ARD TV 보도 유툽영상
피드 구독하기:
글 (Atom)